티스토리 뷰

반응형

요즘 뉴스나 신문기사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탄소배출권인데, 사실 어림짐작하여 알고는 있지만 정확히 설명하려고 하니 정리를 한번 하는게 좋을 것 같아서 글을 쓴다.

■ 탄소배출권이란?

6대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CO₂), 메테인(CH₄), 아산화질소(N₂O), 과불화탄소(PFCs), 수소불화탄소(HFC), 육불화황(SF6)을 일정기간 동안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탄소배출권(CERs; Certified Emission Reductions)이라 한다. 국제연합 기후변화협약에서 발행하며, 주식이나 채권처럼 거래소나 장외에서 거래된다. - 출처 : 두산백과

(원래는 온실가스배출권이 맞지만 주로 이산화탄소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탄소배출권이라 한다.)


■ 탄소배출권 거래란?

온실가스가 기본적으로 지구의 온실효과를 줘서 일정 기온을 유지해주는 것이지만, 산업 발전으로 인해 온실가스가 과다 증가하면서 지구온난화 현상이 심각해진 상태라는 것은 다들 알 것이다. 이에 국제연합에서 국가별로 탄소배출권을 주고, 그 탄소배출권 보다 적게 탄소를 배출하면 나머지 남는 양을 다른 국가에 팔 수 있고, 반대로 탄소 배출이 할당량을 초과할 경우 다른 국가로부터 사올 수 있는 거래가 가능하게 만들었다.

즉, 국가별로 할당되어 자발적으로 온실가스를 줄이려고 유도하는 제도인데 각국이 대부분의 배출권을 기업에 할당하기 때문에 보통 기업간의 거래로 발생하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배출권을 파는 것이 이익이지만, 배출권이 감축비용보다 저렴하면 그냥 배출권을 사오는게 더 비용절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우려 속에서도 탄소배출권으로 이익을 보는 기업들이 생기고 있다.
그 대표적인 기업이 테슬라이다. 테슬라의 주된 수입원은 전기자동차가 아니라 탄소배출권 거래이다. 캘리포니아 주를 비롯한 미국 13개 주는 친환경차 생산량에 따라 자동차 메이커에 탄소배출권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테슬라는 전기차만 생산하기 때문에 탄소배출권을 쌓아놓을 수 있지만, 내연기관 차량을 판매하는 다른 완성차 업체는 외부에서 탄소배출권을 사들여야 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테슬라는 탄소배출권을 다른 완성차 업체에 팔아 지난해에만 15억8000만 달러(약 1조7400억원)의 이익을 얻었다.

■ 우리나라도 탄소배출권을 거래하는가?

우리나라는 한국거래소에서 2015년부터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을 운영하고 있다. 할당량 대비 탄소 배출량이 많은 기업은 이 시장에서 배출권을 구매할 수 있고, 탄소배출권 구매 비용은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계속해서 변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행 첫 해인 2015년에는 하루평균 5700만원이던 거래된 총 금액이 2020년 9월 기준 28억원으로 50배 가까이 늘었다고 한다. 같은 기간 하루 거래량도 5100t 에서 9만 1400t 까지 5년 새 거래량 규모가 18배 증가했다고 한다. 탄소배출권은 2020년 한때 1t당 4만원 까지도 올라갔었으나, 2020년 3월 기준 1t당 1만 8500원경에 거래되고 있다. 왜 가격이 내려갔는지도 생각해볼 문제이다. (이 내용은 아래 관련주에서 언급 예정)

당장 2021년 올해부터 우리나라 탄소배출권 규정이 더 타이트해질 예정이라, 정유, 철강, 자동차 등 탄소배출량이 많은 제조업체들은 재무 부담이 기업실적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기아가 2020년 재무제표에 처음으로 1520억원을 온실가스 배출부채로 반영했다.

 

■ 탄소배출권 관련주

탄소배출권 관련주식은 탄소배출권을 판매하는 기업과 탄소배출을 줄여주는데 기여하는 기업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1) 탄소배출을 줄여 남는 탄소배출권을 판매하는 기업 (CDM, 리스기업 포함)
- 휴켐스, 후성, KC코트렐, 한솔홈데코

2)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대기오염방지 시설 및 친환경 재생에너지 등과 관련된 기업
- 에코프로, 그린케미칼

하지만 관련주 매수시 생각해봐야할 점이 있다. 규정이 점점 타이트해지는 만큼 미래 전망성으로는 긍정적이나, 당장은 해당 회사들의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높지 않고 주매출원은 다른 것인 경우가 있어 변동성이 있을 수 있다. 어떤 이유에서든 거래량이 줄어들면 탄소배출권 거래가가격이 낮아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장래가 유망한 분야인 것은 분명한 것 같다.


※ 주식 순서는 추천순이 아니며, 종목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관련글)
탄소중립이란?
https://coordijulia.tistory.com/m/56

탄소중립이란? (feat. CCUS, RE100 관련 기업)

이전에 탄소배출권 관련하여 글을 정리하면서, 탄소중립도 정리해야지 하고서는 이제야 글을 정리한다. (탄소배출권 관련해서는 맨 아래 링크) ■ 탄소중립이란? 이산화탄소 배출량만큼 이산화

coordijulia.tistory.com

반응형